YDK
qna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작성일25-03-30 10:35 조회16회 댓글0건

본문

건설사들이 재건축·재개발사업의 시공권을 따내기 위해 경쟁하는 모습이 사라지고 있다. 건설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건설사들은 정비사업 조합이 과도하게 높게 책정한 입찰보증금과 타사와의 수주전에서 졌을 경우 발생하는 매몰 비용 등이 부담이라고 입을 모은다.
쌍용동 민간임대
3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의 '잠실우성아파트' 재건축 조합은 지난 14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공고문을 다시 냈다. 지난 4일 진행된 시공사 선정에서 현대건설의 단독 입찰로 유찰됐기 때문이다.

이곳에 시공사로 선정되기 위해 내는 입찰보증금은 600억원이다. 현금으로만 300억원을 준비해야 하고 나머지는 입찰보증 보험증권으로 마련하면 된다. 건설업계에서는 최근 정비사업 조합들이 입찰보증금을 너무 높여놔 무조건 잡아야 하는 사업장이 아니고서는 선뜻 참여하기가 어렵다고 토로한다.

잠실우성아파트뿐 아니라 다른 정비사업장에서도 입찰보증금으로만 수백억원을 요구한다. '방배 15구역' 재건축 조합도 입찰보증금으로 400억원을 책정했는데 건설사는 현금으로만 200억원을 마련해야 한다. '개포주공 6·7단지' 재건축조합도 500억원의 입찰보증금 중 300억원을 현금으로 준비하라는 공고를 지난 1월 냈다.
천안 쌍용역 민간임대
건설경기 악화로 건설사 대부분이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인데 수백억원의 현금이 입찰보증금으로 묶이는 게 부담스럽다는 설명이다. 나아가 건설사들은 입찰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고 조합과 소송전까지 갈 수 있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실제로 HDC현대산업개발은 남영2구역 재개발 조합으로부터 입찰보증금 100억원을 돌려받지 못해 반환소송 청구를 진행하고 있다.

수주전에 졌을 경우 투입된 비용이 모두 손실로 돌아가는 점도 건설사들의 최근 경쟁입찰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서울에서 용산이나 강남권 등 핵심 사업장 수주를 따내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며 "홍보관 건설·운영·철거 비용과 설계비용, 마케팅 비용 등을 합하면 300~400억원까지 드는데 만약 시공권을 못 따내면 이 비용을 손실로 떠안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결국 각종 비용 부담을 고려하면 최대한 쌍용역 민간임대 경쟁을 피하고 이익이 될 만한 곳만 골라 입찰에 참여하는 선별수주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과거에는 시공권을 따내는 것과 관계없이 1년에 한두 번씩은 경쟁입찰에 참여해야 직원들의 실력도 올라간다는 인식이 있어 경쟁에 적극적이었다"면서 "최근에는 비용 절감이 모든 건설사의 화두인 만큼 비용 자체를 줄이기 위해 경쟁에도 소극적이게 됐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