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DK
qna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작성일25-03-23 08:37 조회3회 댓글0건

본문

최근 5년 새 상위 1% 힐스테이트 용인남사 부동산 부자를 가르는 기준선이 5억원 넘게 올랐다.

23일 연합뉴스의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 자산이 상위 1%인 가구의 기준선은 30억원이었다. 지난 2019년 부동산 상위 1%의 기준선은 24억6천만원이었다.

5년 새 '상위 1% 기준선'이 5억4천만원이나 올라간 것이다.

상위 5%의 기준선 또한 2019년 11억2천만원에서 2024년 14억1천만원으로 2억9천만원 상승했다.

상위 10% 역시 7억5천만원에서 9억5천만원으로 기준선이 2억원 올라갔다.
용인남사 힐스테이트
반면 부동산 자산 기준으로 줄을 세웠을 때 전체의 가운데인 중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2019년 1억6천만원에서 2021년 1억8천만원으로 2천만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20∼2022년 부동산 급등기와 이후 조정기를 거치면서 자산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단 상위 1%, 5% 안에 드는 표본 가구가 많지 않은 만큼 통계적 유의성에 주의해야 한다.

순자산 10분위 가구(상위 10%)의 평균 순자산은 2019년 15억3천만원에서 지난해 20억원으로 4억7천만원가량 증가했다.

전체 순자산 중 10분위 가구의 점유율도 43.3%에서 44.4%로 늘었다.

같은 기간 순자산 9분위 가구 또한 순자산이 6억4천만원에서 8억4천만원으로 늘었다. 점유율도 18.2%에서 18.6%로 커졌다.
남사 힐스테이트
반면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1분위를 제외한 2∼8분위 가구의 순자산 점유율은 2019년에서 지난해로 넘어오면서 대부분 감소했다.

서울, 특히 강남권에서 집값이 치솟으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점차 벌어지고 있다.

자산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에서도 이같은 지역별 양극화가 나타났다.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자산 5분위가 보유한 부동산 평균 금액은 수도권에서 13억6천544만원, 비수도권에서 10억7천211만원으로 집계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는 3억원 상당이다.

수도권 자산 5분위의 부동산 평균 금액은 2019년 10억5천477만원에서 2020년 11억1천695만원, 2021년 12억8천536만원으로 점차 늘다가 코로나19 시기 자산 가격 급등으로 2022년 14억1천825만원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23년 13억1천646만원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13억6천544만원으로 소폭 회복했다. 2019년과 비교하면 5년 새 3억1천67만원이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 비수도권 자산 5분위는 2019년 8억6천235만원에서 지난해 10억7천211만원으로 2억976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체 자산 평균 금액을 시도별로 보면 전국 평균(5억4천22만원)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세종, 경기로 나타났다.

지난해 세종이 7억6천663만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서울과 경기는 각각 7억6천173만원, 6억5천945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평균 금액이 가장 낮은 시도는 충남(3억5천915만원)와 전남(3억6천586만원)이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